12번째 세계 (비교)
알림
현재 진행 중인 사용자 토론이 있습니다.
r21 vs r22 | ||
---|---|---|
... | ... | |
29 | 29 | [[파일:tuto12-1.png]]}}} || |
30 | 30 | ||<width=25%> '''BPM''' ||<-3>120 || |
31 | 31 | || '''타일 수''' ||<-3>27 || |
32 | || '''배우는 패턴''' ||<-3> |
|
32 | || '''배우는 패턴''' ||<-3>직각 삼각형 || |
|
33 | 처음으로 '''직각 삼각형''' 모양의 패턴이 등장한다. |
|
34 | 45도 각도의 타일에서 마지막에 나오는 정박까지 빠르게 3번 연타하면 된다. BPM은 느리지만 실제 BPM보다 사실상 순간적으로 '''4배''' 빠르게 입력해야 하므로 여기서부터는 '''양손'''을 사용하는 것이 더 편할 수 있다. |
|
35 | 박자를 표현하자면 다음과 같다. |
|
36 | ■□□□|■□■■|■□□□|■□□□ |
|
33 | 37 | === 12-2 옥상 === |
34 | 38 | ||<table align=left><-6><tablewidth=400><colbgcolor=#1a1a1a><table bordercolor=#3C3C3C,#BABABA><colcolor=#b43935>12-2[br]'''{{{+2 옥상}}}'''[br]{{{-1 Rooftops}}} || |
35 | 39 | ||<-6><nopad> [youtube(cUJy9oTZyZM)] || |
... | ... | |
37 | 41 | [[파일:tuto12-2.png]]}}} || |
38 | 42 | ||<width=25%> '''BPM''' ||<-3>120 || |
39 | 43 | || '''타일 수''' ||<-3>43 || |
40 | || '''배우는 패턴''' ||<-3> |
|
44 | || '''배우는 패턴''' ||<-3>트레실로와 연결된 직각 삼각형 || |
|
45 | 트레실로의 마지막 박자에 직각 삼각형이 대신 들어가 있는 모양의 패턴이다. |
|
46 | 복잡해 보이지만 실제 저 모양을 BPM을 2배로 놓고 풀어놓으면 [[3번째 세계]]의 아래쪽으로 진행하는 구불구불 패턴과 같은 박자가 된다. |
|
47 | 박자를 표현하자면 다음과 같다. |
|
48 | ■□□■|□□■■|■□□■|□□■■|■□□■|□□■■|■□□□|□□■□ |
|
41 | 49 | === 12-3 위성 안테나 === |
42 | 50 | ||<table align=left><-6><tablewidth=400><colbgcolor=#1a1a1a><table bordercolor=#3C3C3C,#BABABA><colcolor=#b43935>12-3[br]'''{{{+2 위성 안테나}}}'''[br]{{{-1 Satellite DIshes}}} || |
43 | 51 | ||<-6><nopad> [youtube(Uj9f6xkfcHw)] || |
... | ... | |
45 | 53 | [[파일:tuto12-3.png]]}}} || |
46 | 54 | ||<width=25%> '''BPM''' ||<-3>120 || |
47 | 55 | || '''타일 수''' ||<-3>25 || |
48 | || '''배우는 패턴''' ||<-3> |
|
56 | || '''배우는 패턴''' ||<-3>트레실로와 쉬어가는 박 이후 직각 삼각형 || |
|
57 | 바로 직전의 튜토리얼 패턴과 비슷하나, 트레실로의 마지막 박자를 한 박 쉬고 직각 삼각형으로 들어가는 모양의 패턴이다. |
|
58 | 트레실로의 마지막 박자를 한 박 쉰 후에 직각 삼각형 패턴을 진행한다는 점에서 쉬는 박자에만 유의하면 이전 튜토리얼과 거의 동일하다. |
|
59 | 박자를 표현하자면 다음과 같다. |
|
60 | ■□□■|□□■□|□□■■|■□□□|■□■■|■□□□|■□□■|□□□□ |
|
49 | 61 | === 12-4 트레실로와 삼각형 === |
50 | 62 | ||<table align=left><-6><tablewidth=400><colbgcolor=#1a1a1a><table bordercolor=#3C3C3C,#BABABA><colcolor=#b43935>12-4[br]'''{{{+2 트레실로와 삼각형}}}'''[br]{{{-1 Triangles in Tresillos}}} || |
51 | 63 | ||<-6><nopad> [youtube(9dif-K-MLU8)] || |
... | ... | |
53 | 65 | [[파일:tuto12-4.png]]}}} || |
54 | 66 | ||<width=25%> '''BPM''' ||<-3>120 || |
55 | 67 | || '''타일 수''' ||<-3>41 || |
56 | || '''배우는 패턴''' ||<-3> |
|
68 | || '''배우는 패턴''' ||<-3>직각 삼각형 직후 안쪽 유턴, 트레실로 직후 직각 삼각형 || |
|
69 | 이번에는 트레실로 패턴이 끝난 직후 바로 직각 삼각형이 나오는데, 이때 주의할 점은 이전의 직각 삼각형과는 다르게 '''들어가는 박자'''에 16분박 연타를 입력해야 한다. |
|
70 | 타일의 밀도가 더욱 상승하므로 느린 BPM이지만 빠르고 정확한 입력을 요구한다. |
|
71 | 박자를 표현하자면 다음과 같다. |
|
72 | 직각 삼각형과 안쪽 유턴) ■□□□|■□■■|■□■□|■□□□|■□□□|□□■□|□□□□|■□□□ |
|
73 | 트레실로 이후 직각 삼각형) ■□□■|□□■□|■■■□|■□□□|■□□□|□□■□|□□□□|■□□□ |
|
57 | 74 | === 12-5 사자 꼬리 === |
58 | 75 | ||<table align=left><-6><tablewidth=400><colbgcolor=#1a1a1a><table bordercolor=#3C3C3C,#BABABA><colcolor=#b43935>12-5[br]'''{{{+2 사자 꼬리}}}'''[br]{{{-1 Lions' Tails}}} || |
59 | 76 | ||<-6><nopad> [youtube(2FP1rnFPttM)] || |
... | ... | |
61 | 78 | [[파일:tuto12-5.png]]}}} || |
62 | 79 | ||<width=25%> '''BPM''' ||<-3>120 || |
63 | 80 | || '''타일 수''' ||<-3>32 || |
64 | || '''배우는 패턴''' ||<-3> |
|
81 | || '''배우는 패턴''' ||<-3>연속 두 번 트레실로 || |
|
82 | 연속 트레실로가 대각선으로 찌그러진 육각형 모양의 패턴으로 등장한다. |
|
83 | 박자는 이전 [[11번째 세계]]의 어지럽게 꼬인 길에 나오는 트레실로 모양과 같지만 소용돌이가 없다는 차이가 있다. |
|
84 | 박자를 표현하자면 다음과 같다. |
|
85 | ■□□■|□□■□|■□□■|□□■□|■□□□|■□□□|■□□■|□□□□ |
|
65 | 86 | === 12-6 방패를 든 감시병 === |
66 | 87 | ||<table align=left><-6><tablewidth=400><colbgcolor=#1a1a1a><table bordercolor=#3C3C3C,#BABABA><colcolor=#b43935>12-6[br]'''{{{+2 방패를 든 감시병}}}'''[br]{{{-1 The Shielded Sentinels}}} || |
67 | 88 | ||<-6><nopad> [youtube(q3ec48mvy-0)] || |
... | ... | |
69 | 90 | [[파일:tuto12-6.png]]}}} || |
70 | 91 | ||<width=25%> '''BPM''' ||<-3>130 || |
71 | 92 | || '''타일 수''' ||<-3>37 || |
72 | || '''배우는 패턴''' ||<-3> |
|
93 | || '''배우는 패턴''' ||<-3>트레실로, 직각 삼각형과 안쪽 유턴의 복합 || |
|
94 | 이전 튜토리얼의 위성 안테나 패턴과 트레실로와 삼각형 패턴을 합쳐 놓은듯한 모양의 패턴이다. |
|
95 | 이전에 나왔던 패턴들이 섞여 이번 튜토리얼 중 가장 복잡한 모양을 하고 있다. 이전에 배운 모양의 박자를 기억한다면 모양으로 박자감을 잡을 수 있을 것이다. |
|
96 | 박자를 표현하자면 다음과 같다. |
|
97 | ■□□■|□□■□|□□■■|■□■□|■□□■|□□■□|■□□□|■□□□ |
|
73 | 98 | == 12-X Artificial Chariot == |
74 | 99 | ||<nopad><width=8.3%> ||<nopad><width=8.3%> ||<nopad><width=8.3%> ||<nopad><width=8.3%> ||<nopad><width=8.3%> ||<nopad><width=8.3%> ||<nopad><width=8.3%> ||<nopad><width=8.3%> ||<nopad><width=8.3%> ||<nopad><width=8.3%> ||<nopad><width=8.3%> ||<nopad><width=8.3%> || |
75 | 100 | ||<-12><tablealign=center><tablewidth=650><bgcolor=#000000><table bordercolor=#3C3C3C,#BABABA><color=#EB604C>{{{#!wiki style="display: inline; text-shadow: 0 0 6px #EB604C; color:#EB604C" |
... | ... |